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선거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 선거, 국민 투표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 왔다. 선거 제도는 시대적 상황과 권력 구조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특히 대통령 선거는 헌법 개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여러 차례 선출 방식이 바뀌었다. 국회의원 선거 역시 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 등을 거치며 선거 제도가 개정되었고, 투표 연령과 피선거권 연령 또한 변동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선거 - 대한민국 공직선거법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은 대한민국의 선거 관련 법률로서 2020년 1월 14일 마지막 개정을 거쳐 총칙, 선거권과 피선거권 등을 규정하며, 헌법재판소 판례를 통해 선거권 행사와 알 권리를 보장한다.
  • 대한민국의 선거 - 안풍 사건
    안풍 사건은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측에 안기부 자금 200억 원이 전달되었다는 혐의로 불거진 정치 자금 관련 의혹 사건으로, 안기부의 불법 자금 조성 및 대선 개입 의혹과 김영삼 정부의 도덕성 논란을 야기했으며, 수사 결과 자금 전달 혐의가 드러났으나 관련자들에게 무죄가 선고되었고 자금 출처에 대한 의혹은 지속되었다.
  • 대한민국의 공휴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대한민국의 공휴일 - 일요일
    일요일은 토요일과 월요일 사이의 한 주의 마지막 날로, 많은 국가에서 휴일이며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주일로 지켜지고,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유래한 "태양의 날"을 의미하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안식일로 선포한 이후 휴일로서의 의미가 확산되어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대한민국의 선거

2. 대한민국의 역대 선거 및 국민투표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보통·평등·비밀 원칙에 기초한 보통 선거라는 민주적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이후 약 60년간 여러 정치적 변동으로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 제도는 큰 변화를 겪었다. 1987년 민주화 선언으로 성립된 대한민국 제6공화국에서는 1994년 제정된 공직선거법한국어에 따라 모든 선거가 실시되고 있으며, 대통령 직선제와 국회의원 소선거구제가 정착되었다.

한국의 투표일은 수요일로 정해져 있으며, 대통령 선거, 총선, 전국 동시 지방 선거 등 주요 선거는 모두 수요일이며 공휴일이다. 다만, 재보궐 선거는 공휴일이 아니다. 2021년 4월 7일 실시된 서울시장, 부산시장 재보궐 선거가 그 예이다.


  • [http://www.nec.go.kr/sinfo/index.html 역대선거정보시스템]
  • [http://www.nec.go.kr/nec_new2009/information/info_sg_gongjik.jsp 공직선거 안내]

2. 1. 1940년대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자유·보통·평등·비밀 원칙에 기초한 보통 선거라는 민주적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 1948년 7월 20일에는 제1대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2. 2. 1950년대

1950년대에는 다음과 같은 선거들이 치러졌다.


2. 3. 1960년대

1960년 3월 15일 실시된 4대 대통령 및 5대 부통령 선거는 부정선거로 얼룩졌다.[1] 1960년 7월 29일에는 5대 국회의원 선거가, 8월 12일에는 4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1] 그해 12월 12일, 12월 19일, 12월 26일, 12월 29일에는 지방선거가 치러졌다.[1]

1962년 12월 17일에는 1차 국민투표가 있었다.[1] 1963년 10월 15일에는 5대 대통령 선거가, 11월 26일에는 6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1] 1967년 5월 3일에는 6대 대통령 선거가, 6월 8일에는 7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었다.[1] 1969년 10월 17일에는 2차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1]

2. 4. 1970년대

1971년 4월 27일 제7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고, 1971년 5월 25일에는 제8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1972년 11월 21일 제3차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1972년 12월 23일 제8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1973년 2월 27일 제9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고, 1975년 2월 12일 제4차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다. 1978년 7월 6일 제9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고, 1978년 12월 12일 제10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1979년 12월 6일 제10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다.

2. 5. 1980년대

1980년대에는 다음과 같은 선거들이 있었다.



1987년 민주화 선언으로 성립된 대한민국 제6공화국에서는 1994년 제정된 공직선거법한국어에 따라 모든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법 제정 이후 한국에서는 대통령 직선제와 소선거구제를 주체로 하는 국회의원 선거 제도가 정착되었다.

2. 6. 1990년대


2. 7. 2000년대


2. 8. 2010년대


2. 9. 2020년대

3. 선거 제도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자유, 보통, 평등, 비밀 선거 원칙에 기초한 민주적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후 약 60년간 여러 정치적 변동을 겪으며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제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8]

1987년 민주화 선언으로 성립된 대한민국 제6공화국에서는 1994년 제정된 대한민국 공직선거법한국어에 따라 모든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직선제와 국회의원 소선거구제비례대표제가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투표일은 수요일로 정해져 있으며, 대통령 선거, 총선, 전국 동시 지방 선거는 모두 수요일에 실시되고 투표일은 공휴일이다. 다만, 재보궐 선거는 공휴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2021년 4월 7일(수)에 실시된 서울시장, 부산시장 재보궐 선거가 이에 해당한다.

3. 1.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은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 대통령 직선제가 확립되었으며, 임기는 5년 단임제이다.

3. 1. 1. 역대 대통령 선거의 선거 제도 변천

대한민국의 정치 체제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대통령 선거는 매우 중요한 선거이다. 과거 9번의 헌법 개정이 실시되었는데, 개헌의 주된 목적은 당시 대통령의 정권 유지를 위한 대통령 선거 제도 개정이었다. 대통령 선거는 과거 17번 실시되었고, 총 10명의 대통령이 선출되었는데, 초대 대통령은 국회의원에 의한 간접 선거, 1952년에는 국민에 의한 직접 선거, 1972년에는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제로 변경되었다. 이는 당시 권력자의 정권 유지를 위해 선거 제도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변경했기 때문이다. 1987년 6월의 「민주화 선언」에 따라 실시된 헌법 개정을 통해 국민에 의한 직접 선거 제도가 부활하여 정착하게 되었다.[1]

역대 대통령 선거의 선거 제도 변천
선거 실시일선출 방법당선자소속 정당임기비고
제1공화국
초대1948년7월 20일국회의원에 의한 간접 선거이승만무소속4년
제2대1952년8월 5일직접 선거이승만자유당4년
제3대1956년5월 15일직접 선거이승만자유당4년
제4대1960년3월 15일직접 선거이승만자유당부정 선거로 무효 (4·19 혁명)
제2공화국
제4대1960년8월 12일민의원과 참의원의 양원 합동 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윤보선민주당4년의원 내각제 도입
제3공화국·제4공화국
제5대1963년10월 15일직접 선거박정희민주공화당4년
제6대1967년5월 3일직접 선거박정희민주공화당4년
제7대1971년4월 27일직접 선거박정희민주공화당4년
제8대1972년12월 23일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박정희민주공화당6년
제9대1978년7월 6일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박정희민주공화당6년1979년 10월 26일에 암살
제10대1979년12월 6일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최규하무소속6년1980년 8월 16일에 사임
제11대1980년8월 27일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 선거전두환무소속6년1980년 10월에 헌법 개정
제5공화국
제12대1981년2월 25일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 선거전두환민주정의당7년야당 후보의 출마도 허용.
제6공화국
제13대1987년12월 16일직접 선거노태우민주정의당5년평화로운 정권 교체의 실현
제14대1992년12월 18일직접 선거김영삼민주자유당5년문민 정권의 탄생
제15대1997년12월 18일직접 선거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5년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의 여야 간 평화적 정권 교체
제16대2002년12월 19일직접 선거노무현새천년민주당5년
제17대2007년12월 19일직접 선거이명박한나라당5년
제18대2012년12월 17일직접 선거박근혜새누리당5년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 탄생.
제19대2017년5월 9일직접 선거문재인더불어민주당5년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에 따라 앞당겨졌다.
제20대2022년3월 10일직접 선거윤석열국민의힘5년



3. 2. 국회의원 선거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 의원 선거를 통해 자유, 보통, 평등, 비밀 선거라는 민주적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후 약 60년간 여러 정치적 변동을 겪으며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제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8]

1987년 민주화 선언으로 성립된 대한민국 제6공화국에서는 1994년 제정된 대한민국 공직선거법한국어에 따라 모든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직선제와 소선거구제를 중심으로 하는 국회의원 선거 제도가 정착되었다.

한국의 투표일은 수요일로 정해져 있으며, 대통령 선거, 총선, 전국 동시 지방 선거 등 주요 선거는 모두 수요일에 실시되고 투표일은 공휴일이다. 다만, 재보궐 선거는 공휴일이 아니다.

3. 2. 1. 역대 총선거의 선거 제도 변천

역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제도는 여당이 국회에서 안정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유신 체제에서는 국회의원 3분의 1을 대통령이 사실상 임명하거나, 전국구 의석 3분의 2 또는 절반을 제1당에 자동 배분하는 제도가 있었다. 민주화 선언 이후 도입된 비례대표제에서도 군소 정당을 배제하기 위해 전국구 유효 득표 총수가 3% 미만이거나 지방 선거구 획득 의석수가 5석 미만인 정당은 의석 배분 자격을 주지 않았다.

1988년 제6공화국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소선거구 비례대표 병립제가 채택되었지만, 소선거구(지역구) 비율이 점차 커지고 비례대표 비율은 20% 미만에 머물고 있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은 제14대 총선에서는 지역구 의석수에 따라, 제15대·제16대 총선에서는 지역구 후보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었다. 2004년 제17대 총선부터는 2표제가 도입되어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2020년 제21대 총선부터는 정당 득표율에 비해 지역구 의석이 적은 정당에게 유리하도록 의석 배분 방식이 변경되었고, 득표율 3% 미만 또는 지역구 5석 미만 정당은 비례대표 의석 배분 대상에서 제외된다.

역대 총선거의 선거 제도 변천
원 구성선거 실시일선출 방법선거 제도정수임기비고
제1공화국
초대 총선단원제1948년 5월 10일직접 선거소선거구제2002년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제헌 국회의원 선출
제2대 총선단원제1950년 5월 30일직접 선거소선거구제2104년정수 10석 증가
제3대 총선단원제1954년 5월 20일직접 선거소선거구제2034년정수 7석 감소
제4대 총선단원제1958년 5월 2일직접 선거소선거구제2334년정수 30석 증가
제2공화국
제5대 총선양원제1960년 7월 29일직접 선거민의원(하원)소선거구제2334년민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되는 양원제 도입[8]
참의원(상원)시·도 단위
중선거구제
58
제3공화국·제4공화국
제6대 총선단원제1963년 11월 26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1314년무소속 출마 금지. 전국구는 지역구 제1당에 2분의 1~3분의 2 자동 배분
전국구(비례대표)44
제7대 총선단원제1967년 6월 8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1314년동일
전국구(비례대표)44
제8대 총선단원제1971년 5월 25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1534년선거 제도 이전과 동일, 정수 29석 증가
전국구(비례대표)51
제9대 총선단원제1973년 2월 27일직접 선거지역구(중선거구)1466년3분의 1은 대통령 추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무소속 출마 허용. 정수 8석 증가
간접 선거대통령 추천(유정회)763년
제10대 총선단원제1978년 12월 12일직접 선거지역구(중선거구)1546년제도 이전과 동일, 정수 9석 증가
간접 선거대통령 추천(유정회)773년
제5공화국
제11대 총선단원제1981년 3월 25일직접 선거
(1표제)
중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중선거구)1844년전국구는 지역구 제1당에 3분의 2 자동 배분. 나머지는 지역구 의석 비례 배분. 정수 45석 증가
전국구(비례대표)92
제12대 총선단원제1985년 1월 12일직접 선거
(1표제)
중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중선거구)1844년선거 제도와 정수 이전과 동일
전국구(비례대표)92
제6공화국
제13대 총선단원제1988년 4월 26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244년전국구는 지역구 제1당에 2분의 1 자동 배분. 정수 23석 증원
전국구(비례대표)75
제14대 총선단원제1992년 3월 24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374년전국구 프리미엄 의석 제도 폐지
전국구(비례대표)62
제15대 총선단원제1996년 4월 11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534년전국구 의석 배분, 의석 비율 → 득표율
전국구(비례대표)46
제16대 총선단원제2000년 4월 13일직접 선거
(1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274년선거 제도 이전과 동일, 정수 26석 감축
전국구(비례대표)46
제17대 총선단원제2004년 4월 15일직접 선거
(2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434년2표제 도입. 비례대표 정당 득표 기준 배분. 정수 299석 환원
비례대표56
제18대 총선단원제2008년 4월 9일직접 선거
(2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454년선거 제도와 정수 이전과 동일
비례대표54
제19대 총선단원제2012년 4월 11일직접 선거
(2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464년지역구 정수 1명 증가
비례대표54
제20대 총선단원제2016년 4월 13일직접 선거
(2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534년지역구 정수 7명 증가, 비례대표 정수 7명 감소
비례대표47
제21대 총선단원제2020년 4월 15일직접 선거
(2표제)
소선거구 비례
대표 병립제
지역구(소선거구)2534년정수 이전과 동일. 비례대표 의석 배분 변경
비례대표47


참조

[1] 웹사이트 Representation System(Elected Person) http://www.intergrap[...] 2008-04-10
[2] 웹사이트 Right to Vote and Eligibility for Election https://www.nec.go.k[...]
[3] 웹사이트 Election Districts and Representation System https://www.nec.go.k[...]
[4] 웹사이트 Local Council Elections https://www.nec.go.k[...]
[5] 간행물 Korean Elections: A Model of Best Practice http://asiafoundatio[...] 2016-04-20
[6] 뉴스 The South Korean 2012 Presidential Election was Fraudulent http://ireport.cnn.c[...] 2013-02-21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韓国の選挙情報の調べ方 https://rnavi.ndl.go[...]
[11] 문서
[12] 법령 제114조 2·6항
[13] 법령 군정법령 제175호 국회의원선거법 1948-03-17
[14] 법령 헌법 제4호 1960-06-15
[15] 법령 법률 제7681호 공직선거법 2005-08-04
[16] 법령 법률 제16864호 공직선거법 2020-01-14
[17] 법령 법률 제247호 대통령·부통령선거법 1952-07-18
[18] 법령 헌법 제9호 1980-10-27
[19] 법령 법률 제3937호 대통령선거법 1987-11-07
[20] 법령 군정법률 제5호 입법의원의원선거법 1947-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